> 비상용생리대비치문화확산 사업이란?
비상용생리대비치문화확산 사업은 생리대 비치가 사회 전 범위에서 자연스러운 문화 중 하나로 인식되는 것을 목표한 사업입니다. 월경권의 평등하고 안전한 보장과 여성 성건강권 증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공공시설에 비상용 생리대를 비치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월경인식과 월경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교육과 월경 캠페인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비상용생리대비치문화확산 사업은 서울특별시와 YMCA가 함께 합니다.
서울특별시 공공시설 240곳 비상용 생리대 비치 달성
홍은청소년문화의집,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유린원광복지관,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동작이수복지관,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광진구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녹번종합사회복지관,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성북구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온누리도서관,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삼전복지관,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제100회 전국체육대회,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성북청소년문화의집,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서울특별시 공공시설 202곳 비상용 생리대 비치 달성
광진구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광장종합사회복지관,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성동인력개발센터,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까리따스방배종합사회복지관,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서울특별시 여성일자리박람회,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남부여성발전센터,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등빛도서관,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강북늘푸른교육센터,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홍은청소년문화의집,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아하청소년성문화센터,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은평구건강가정다문화가족지원센터,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서울시립뇌성마비복지관,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자양종합사회복지관,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금천장애인종합복지관,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아하청소년성문화센터,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서울특별시 내 공공시설 201곳 비상용 생리대 비치 달성
노원청소년센터, 월경 & TALK (월경문화 인식 개선 교육)
비상용생리대비치문화확산사업 서포터즈 위촉
서울특별시 2019성평등주간행사, 월경문화 인식 개선 캠페인
서울특별시 공공시설 171곳 비상용 생리대 비치 달성
비상용생리대비치문화확산 사업, UN 공공행정상 수상 (UN Public Service Awards, UNPSA)
스마트 서울맵 개발 (비상용 생리대 비치 기관 안내지도)
제2회 월경박람회 - 비상용 생리대 비치 캠페인
서울특별시 내 공공시설 160곳 비상용 생리대 비치 달성
비상용 생리대 비치 문화 확산을 위한 사업 착수
서울특별시 예산 및 교육 기관 행사, 비상용생리대비치문화확산 사업 연계 캠페인
중앙일보, 비상용생리대비치문화확산 사업 - 외국인이 뽑은 서울특별시 우수정책 4위 선정
비상용 생리대 비치 시범 사업장 이용자 만족도조사 [결과: 4.42/5]
서울특별시 성평등 기본조례 개정
객관적인 의견 수렴과 방향 설정을 위한 설문조사 실시
[월경 문제는 여성들의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사안이다: 86%]
[생리대가 없어 곤란한 적이 있다: 85%]
[과도한 사용이 우려 된다: 71.1%]
공공기관 생리대 비치에 대한 찬반투표 [결과: 92% 찬성]